테니스 포 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니스 포 투》는 1958년 미국의 물리학자 윌리엄 히긴보덤이 브룩헤이븐 국립 연구소의 연례 방문객 행사를 위해 개발한 최초의 비디오 게임 중 하나이다.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여 테니스 코트를 묘사하고, 두 명의 플레이어가 조작기를 통해 공을 주고받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958년 처음 공개되었으며, 1959년에는 중력 시뮬레이션 기능이 추가된 버전이 선보였다. 이후 해체되었으나, 1980년대 초 랄프 H. 베어의 비디오 게임 특허 침해 소송에서 증언을 통해 재조명받았고, 1997년 브룩헤이븐 국립 연구소에서 복원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디오 게임의 초기 역사 - 스페이스워!
1962년 스티브 러셀과 MIT 동료들이 PDP-1 컴퓨터에서 구현한 2인용 슈팅 게임 스페이스워!는 SF 소설에서 영감을 얻어 우주선을 조작해 상대를 격추하는 게임으로, 공개 소프트웨어 배포, 최초의 비디오 게임 토너먼트 개최, 초기 아케이드 게임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등 비디오 게임 역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 비디오 게임의 초기 역사 - 윌리엄 히긴보덤
물리학자 윌리엄 히긴보덤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원자 폭탄 개발에 참여하고 핵 확산 금지 운동에 헌신했으며, 1958년 최초의 비디오 게임 중 하나인 《테니스 포 투》를 개발했다. - 비디오 게임의 역사 - 1983년 비디오 게임 위기
1983년 비디오 게임 위기는 과잉 생산, 저품질 게임, 소비자 신뢰 하락, 가정용 컴퓨터의 부상 등으로 인해 미국 비디오 게임 시장이 붕괴된 현상이다. - 비디오 게임의 역사 - 스페이스워!
1962년 스티브 러셀과 MIT 동료들이 PDP-1 컴퓨터에서 구현한 2인용 슈팅 게임 스페이스워!는 SF 소설에서 영감을 얻어 우주선을 조작해 상대를 격추하는 게임으로, 공개 소프트웨어 배포, 최초의 비디오 게임 토너먼트 개최, 초기 아케이드 게임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등 비디오 게임 역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테니스 포 투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개발자 | 윌리엄 히긴보덤 |
플랫폼 | 아날로그 컴퓨터 |
출시일 | 1958년 10월 18일 (미국) |
장르 | 스포츠 |
모드 | 멀티플레이어 |
추가 정보 | |
개발 기관 | 브룩헤븐 국립 연구소 |
배급 | 비매품 |
플레이어 수 | 2인 |
미디어 | 데이터 읽기/쓰기 없음 |
판매 대수 | 1대 |
기타 | 연구소 외부 일반인이 즐긴 최초의 비디오 게임 |
2. 개발 배경
윌리엄 히긴보덤은 브룩헤이븐 국립 연구소의 계측 부서 책임자였다. 그는 맨해튼 계획에 참여하여 레이더 시스템 개량에 기여했지만, 지역 주민들은 원자력에 대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히긴보덤은 연구의 안전성을 알리기 위해 매년 가을 연구소를 일반에 공개했으나, 전시 내용은 기재와 사진뿐이어서 방문객들에게는 지루하게 느껴졌다.[3]
히긴보덤은 방문객들이 즐거움을 느끼며 연구를 이해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하여, 연구소 방문객의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 5인치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에 간단한 전자회로를 조합하고 다이얼과 버튼으로 이루어진 간이 컨트롤러를 연결하여 《테니스 포 투》를 개발했다. 같은 부서의 기술자인 로버트 "밥" 도보락의 도움으로 3주 만에 전시를 완성했고, 1958년 10월 전시회 방문객들이 실제로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했다.[3]
《테니스 포 투》는 판매용이 아닌 오로지 전시용으로 사용되었으며, 히긴보덤은 이 게임에 대해 특허를 신청하지 않았다.[3]
《테니스 포 투》는 연구소 방문객에게만 공개되었고, 일반인에게는 연구소의 '방문자의 날'에 단 두 번만 공개되었기 때문에 한동안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다. 이후 1970년대 말과 1980년대 초, 마그나복스 오디세이를 제작한 랄프 베어가 퐁이 오디세이에 포함된 탁구 게임을 표절했다며 아타리의 놀란 부시넬에게 소송을 걸 때, 히긴보덤이 증인으로 출석하면서 이 게임이 처음으로 대중에게 알려지게 되었다.[3]
2. 1. 개발 과정
윌리엄 히긴보텀은 브룩헤븐 국립 연구소 방문객들이 지루해하는 것을 보고, 이들을 즐겁게 해줄 게임을 개발하기로 결심했다. 그는 아날로그 컴퓨터 설명서에서 탄도 미사일 궤적이나 공기 저항이 있는 튀는 공을 계산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게임을 구상했다. 히긴보덤은 "사람들이 플레이할 수 있고 우리의 과학적 노력이 사회에 관련성이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게임"을 만들고자 했다.
히긴보덤은 측면에서 본 테니스 코트에 시뮬레이션된 공의 궤적을 오실로스코프 화면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게임을 설계했다. 연결된 컴퓨터는 공의 궤적을 계산하고 공이 지면에 닿으면 궤적을 반전시켰다. 또한, 공이 네트에 걸리거나 항력으로 인해 속도가 변하는 것도 시뮬레이션했다.
게임 조작을 위해 각각 버튼과 손잡이가 달린 알루미늄 조작기 두 개를 사용했다. 버튼을 누르면 공을 치고, 손잡이로는 샷의 각도를 조절했다. 원래는 샷의 속도를 조절하는 손잡이도 추가하려 했으나, 조작이 너무 복잡해질 것을 우려해 제외했다.
이 장치는 몇 시간 만에 설계되었고, 기술자 로버트 V. 드보라크의 도움을 받아 3주 만에 조립되었다. 회로 대부분은 진공관과 릴레이를 사용했지만, 오실로스코프에 그래픽을 표시하는 회로는 트랜지스터를 사용했다. 오실로스코프와 조작기를 제외한 게임 회로는 대략 전자레인지 정도의 크기였다.
3. 게임 방식
이 게임은 퐁과 유사하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퐁은 테니스 코트를 위에서 내려다보는 시점으로 묘사하는 반면, 《테니스 포 투》는 측면에서 보는 시점으로 코트를 나타낸다. 또한, 《테니스 포 투》에서 공은 중력의 영향을 받아 포물선 궤적을 그리며, 반드시 네트를 넘겨야 한다. 화면에는 플레이어를 나타내는 요소가 없다는 점도 《퐁》과의 차이점이다.
게임 조작에는 두 개의 컨트롤러가 사용된다. 각 컨트롤러에는 공을 치기 위한 버튼과 공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노브가 있다. 플레이어는 버튼을 눌러 공을 네트 너머로 보내고, 노브를 돌려 공의 궤적을 조절할 수 있다. 점수 표시 기능은 없으며, 공을 받아칠 때 소리가 난다.
하드웨어 측면에서, 《테니스 포 투》는 오실로스코프 (직경 13cm)를 모니터로 사용하며, 컨트롤러는 상자에 장착된 스위치를 통해 조작한다. 본체는 냉장고 또는 옷장 크기의 아날로그 컴퓨터 2~3대와 릴레이 등으로 구성된 배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4. 공개 및 반응
1958년 10월, 브룩헤이븐 국립 연구소 방문자의 날에 처음 공개된 ''테니스 포 투''는 큰 인기를 얻었다. 당시 수백 명의 방문객들이 이 게임을 하기 위해 줄을 섰으며, 히긴보섬은 "고등학생들이 가장 좋아했고, 떼어놓을 수 없었다"고 회상했다. 1959년에는 더 큰 화면과 함께 달이나 목성의 중력 수준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된 개선판이 공개되었다. 1959년 버전에는 "컴퓨터 테니스"라는 안내판이 붙어 있었다. 1959년 전시회 이후, 게임은 해체되어 부품이 다른 용도로 사용되었다.
브룩헤이븐 국립 연구소 계측기 부서 책임자였던 히긴보섬은 매년 가을 연구소를 일반에 공개했지만, 전시 내용이 기재와 사진뿐이어서 방문객들에게 지루하게 느껴졌다. 이에 히긴보섬은 방문객들이 즐겁게 연구를 이해할 수 있도록, 같은 부서의 기술자인 로버트 도보락과 함께 3주 만에 ''테니스 포 투''를 개발하여 1958년 10월 전시회에 공개했다.
''테니스 포 투''는 큰 인기를 얻어 게임을 하기 위해 몇 시간 동안 줄을 서는 사람들이 있을 정도였다. 이듬해인 1959년에는 더 큰 15인치 오실로스코프로 공개되었고, 중력이 다른 행성에서 어떻게 달라지는지도 함께 전시되었다. 하지만 이듬해까지 다른 연구에 사용하기 위해 해체되었다.
20개의 전자 회로 특허를 보유했던 히긴보섬은 ''테니스 포 투''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지 않았다. 또한 이 게임을 사업에 이용하려는 사람도 나타나지 않아 ''테니스 포 투''는 오랫동안 묻혀 있었다.
1982년 2월경, 비디오 게임 관련 소송에서 히긴보섬이 증언한 것을 계기로 ''테니스 포 투''는 다시 주목받게 되었다. 같은 해 11월, 세계 최초의 게임 역사 연구가로 알려진 데이비드 알(David Ahl)이 컴퓨터 잡지에 기사를 게재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5. 역사적 의의 및 영향
《테니스 포 투》는 최초의 비디오 게임 논쟁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1970년대 말과 1980년대 초, 마그나복스 오디세이를 제작한 랄프 베어가 퐁이 오디세이에 포함된 탁구 게임을 표절하였다며 아타리의 놀란 부시넬에 소송을 걸었을 때, 히긴보덤이 증인으로 출석하면서 이 게임이 대중에게 처음 알려졌다.[3] 변호 측은 이 게임을 선행 기술로 주장하여 베어의 특허를 무효화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1982년과 1983년, 《크리에이티브 컴퓨팅》과 《비디오 리플레이》 기사에서 최초의 비디오 게임으로 주목받았다. 《크리에이티브 컴퓨팅》의 편집자 데이비드 H. 아흘은 히긴보섬을 "비디오 게임의 할아버지"라고 불렀다. 그러나 히긴보섬 자신은 《테니스 포 투》가 도너 모델 30의 공 튀는 프로그램의 연장선일 뿐이며, 특허를 받을 가치가 없다고 생각했다. 그는 핵 비확산 활동으로 기억되기를 더 원했다.
1997년, 브룩헤븐 국립 연구소는 50주년을 기념하여 게임을 재현했다. 부품을 구하기 어려워 3개월이 걸렸다. 이 재현작은 2008년 원본 게임 50주년 기념 행사에서도 전시되었다. 2010년에는 복원된 도너 모델 3400 아날로그 컴퓨터로 교체되었다. 2011년, 스토니 브룩 대학교는 윌리엄 A. 히긴보섬 게임 연구 컬렉션을 설립하여, 《테니스 포 투》를 비롯한 초기 게임 자료를 보존하고 있다.
《테니스 포 투》는 순수한 오락 목적으로 만들어진 최초의 컴퓨터 게임이라는 점에서 비디오 게임의 초기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전의 게임들은 학문적 연구나 컴퓨터 성능 시연을 위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6. 복원
1997년, 브룩헤이븐 국립 연구소 50주년을 기념하여 원래 진공관을 사용했던 아날로그 컴퓨터 대신 OP 앰프 IC를 사용하여 게임을 복원, 공개하였다.[2] 2010년 12월에는 오리지널 기기를 이용한 복원 및 일반 공개가 발표되었다.[2]
참조
[1]
문서
최초의 컴퓨터 게임
[2]
웹사이트
http://scienceblogs.[...]
[3]
서적
월간 게이머즈 2005년 6월호
게임문화
200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현장] 소장품 상태 굿, 오락실 체험도 맘껏…넷마블게임박물관 가보니 – 바이라인네트워크
넷마블게임박물관 개관…“2100여점 소장품 전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